반응형
%% - 모듈로 연산자
모듈로 연산자는 두 정수를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자입니다. 예를 들어, 5를 2로 나눈 나머지는 1이므로 5 %% 2의 결과는 1이 됩니다. 이 연산자는 주로 나머지 연산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, 짝수/홀수 판별, 순환 구조 등 다양한 문제 해결에 유용하게 쓰입니다.
관련코드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a = 5, b = 2;
int result = a % b;
printf("5 %% 2 = %d\n", result); // 출력: 5 % 2 = 1
return 0;
}
|| - 논리 OR 연산자
논리 OR 연산자는 두 개의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을 반환합니다. 즉, 두 조건 중 하나만 참이어도 전체 결과는 참이 됩니다. 이 연산자는 여러 조건을 한 번에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관련코드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a = 0, b = 1;
if (a || b) {
printf("At least one of a or b is true.\n"); // 출력됨
}
return 0;
}
! - 논리 NOT 연산자
논리 NOT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의 반대 값을 반환합니다. 즉, 참이면 거짓을, 거짓이면 참을 반환합니다. 이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이 아닐 때 어떤 동작을 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.
관련코드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a = 0;
if (!a) {
printf("a is not true.\n"); // 출력됨
}
return 0;
}
관계연산자(Relational Operators)
프로그래밍에서는 자주 값들을 비교하게 됩니다. 이러한 비교를 위해 C 언어에는 관계 연산자가 존재하며, 이를 통해 두 값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관계 연산자들은 조건문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며,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.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만 코드의 일부분을 실행하거나, 반복문의 실행을 제어하려는 경우에도 이들 연산자가 활용됩니다.
관련코드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a = 5, b = 3;
if (a > b) {
printf("a is greater than b.\n"); // a는 b보다 크다.
}
if (a < b) {
printf("a is less than b.\n"); // a는 b보다 작다.
}
if (a == b) {
printf("a is equal to b.\n"); // a와 b는 같다.
}
if (a != b) {
printf("a is not equal to b.\n"); // a와 b는 같지 않다.
}
if (a >= b) {
printf("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b.\n"); //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.
}
if (a <= b) {
printf("a is less than or equal to b.\n"); //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.
}
return 0;
}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C언어 미니 프로젝트 : 도서 대여 관리 시스템 (0) | 2023.09.11 |
---|---|
[C언어] C언어 데이터 표현방식 이해하기(2진수~16진수까지) (0) | 2023.09.06 |
[C언어] C언어 변수를 활용하여 값을 출력해보자 (0) | 2023.09.06 |
[C언어] C언어 Hello World 출력해보고 한 줄 한 줄 뜯어보기 (0) | 2023.09.06 |